주제별 다큐멘터리 큐레이션/환경

기억력 3초? 바보는 인간이었다 – 물고기의 놀라운 지능 실험

디-사커 2025. 5. 24. 19:00
반응형

물고기는 정말 기억력이 3초일까요? 인간보다 더 정교한 학습 능력과 감정을 지닌 물고기의 세계를 과학적 실험과 다큐 사례로 들여다봅니다. 물고기를 다시 보게 될 놀라운 이야기.

출처-KBS다큐


물고기는 정말 바보일까?

낚싯줄을 던지면 덥썩 미끼를 무는 물고기들. 사람들은 흔히 말합니다. “물고기는 바보야. 기억력이 3초니까.”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우리가 미처 몰랐던 바닷속 생명체들의 놀라운 인지능력과 감정, 학습 능력에 대한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단순히 수조 속에서 헤엄치는 존재가 아닌, 개별 인격처럼 기억하고 반응하며 교감하는 물고기들. 그 세계를 지금부터 함께 탐험해봅니다.


물고기도 기억하고 학습한다

낚시도구를 기억한 손뱅이

한 번 낚시에 걸렸던 손뱅이는 소라살 미끼를 보고도 더 이상 입질하지 않았습니다. 주변 물고기들이 달려드는 사이, 혼자만 조심스레 피하죠. 단순히 본능으로 움직이는 동물이 그럴 수 있을까요?

실제로 참돔, 청소놀래기 등 다양한 어종은 낚시도구에 학습해, 두 달이 지나도 회피 행동을 보입니다. 심지어 11개월 뒤에도 포획자를 기억하고 숨는 행동을 보여주었죠. 이는 ‘기억력 3초설’을 완전히 뒤엎는 증거입니다.

길을 기억하는 앞동갈배돌라치

제주 해안 조수 웅덩이에 사는 배돌라치. 집에서 수 미터 떨어진 낯선 곳에 옮겨두었더니, 복잡한 지형을 지나 정확히 집으로 돌아갑니다. 사람으로 치면 1km 거리. 심지어 지도처럼 머릿속에 주변 지형을 기억하는 공간 인지능력까지 갖추고 있죠.


인간과 교감하는 물고기

37년 우정을 지킨 혹돔 ‘요리코’

일본 다테야마의 바다. 60년째 다이빙 중인 히로유키 할아버지를 찾아오는 혹돔 요리코는, 다이빙벨 안까지 따라 들어올 정도로 친숙함을 보입니다. 먹이를 통해 형성된 신뢰는 오랜 세월을 넘어 교감으로 이어졌습니다. 과연 이런 관계가 기억력 3초인 존재에게 가능할까요?

훈련받는 돌돔 ‘흰검둥이’

부산에서 키우는 돌돔 흰검둥이는 손짓을 보고 링을 통과하고, 특정 색 공만 골라치는 훈련을 소화합니다. 심지어 복잡한 동작도 반복 훈련으로 익히며, 사람과 놀이처럼 교류하죠. 긍정적 피드백이 동기를 부여하며 학습 효과를 강화하는 모습은 사람과 유사합니다.

(여기에는 링 훈련 중인 돌돔 이미지가 들어갈 자리입니다)

“정말 물고기가 이런 걸 할 수 있을까?”

그 의심은 영상이 진행될수록 감탄으로 바뀝니다.

출처-KBS다큐


물고기의 도구 사용과 얼굴 인식 능력

성게를 깨먹는 호박돔

단단한 성게를 바위에 내리쳐 깨고 먹는 호박돔. 이처럼 신체 외 물체를 도구로 사용하는 행동은 영장류와 조류에서만 관찰되는 줄 알았습니다. 그러나 호박돔은 분명한 목적의식으로 도구를 사용하며, 복잡한 문제 해결 능력을 보여줍니다.

사람 얼굴도 구별하는 물총고기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진의 실험에서, 물총고기는 44명의 얼굴 중 80% 이상을 구별했습니다. 옆모습까지도 인식하는 능력은, 단순 시각 반응을 넘는 고도의 시각 정보 처리 능력을 시사합니다.


거울을 보고 자신을 인식한 청소놀래기

일본 오사카 국립대 연구팀은 청소놀래기에게 거울을 보여주고, 몸에 가짜 기생충 모양 점을 찍은 뒤 반응을 관찰했습니다. 청소놀래기는 거울을 보고 그 부위를 바닥에 문질렀습니다. 이는 자신을 인식하고 청결 행동을 하는, 고등 인지능력의 사례로 평가됩니다.


물고기를 다시 보게 되는 순간

물고기에게 감정이 있을까? 기억이 남을까? 교감이 가능할까? 이 다큐는 명확한 대답을 줍니다. “그렇다.”

단순한 생존 본능이 아닌, 기억하고 판단하고 배우는 물고기들. 인간과 교류하고, 도구를 사용하고, 자신을 인식하는 존재로서의 물고기. 이제 우리는 바닷속 생명체를 더 이상 ‘3초 기억력’으로 정의할 수 없습니다.

여러분은 물고기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셨나요? 댓글로 의견을 나눠주세요. 주변에 물고기를 좋아하는 분이 있다면 이 글을 공유해보세요. 우리가 몰랐던 물고기의 진짜 얼굴을 함께 알려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