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은 가난하다"— 대한민국 노인 빈곤율 OECD 1위
"아침부터 나와야 돼요. 안 그러면 폐지 줍는 것도 힘들어."
서울 한복판, 80세 노인의 손에 들린 카트가 덜컹거린다.
🚶♂️ "고철은 150원, 신문은 100원, 하루 벌어야 3~4천 원…
🚶♂️ "국민연금? 한 달 10만 원 조금 넘어. 그거 없으면 생활 못 해."
📉 대한민국의 노인 빈곤율은 약 40%,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
📉 75세 이상 노인의 절반 이상이 빈곤선 아래에 살고 있다.
국민연금이 없는 세대,
경제적 성장이 너무 빨라 저축할 기회도 없었던 세대.
이들은 오늘도 폐지를 줍고, 무료 급식소에 줄을 서고 있다.
🏠 쪽방촌과 고시원, 대한민국 노인의 마지막 보금자리
🚪 "여긴 창문도 없어요. 여름엔 숨이 막혀요."
🚪 "화장실도 없고, 한 달 10만 원으로 생활해요."
서울 종로, 영등포, 신림 등지에는
'쪽방촌'이라 불리는 1평 남짓한 공간에 노인들이 모여 산다.
이들은 기초연금을 받아도 생활이 어렵고,
🏡 "반지하라도 집이 있으면 생계비 지원을 못 받아요."
🏡 "국가에서 도와주는 돈이 부족해서 박스라도 주워야 해요."
📉 서울에서 노인이 가장 많이 사는 곳은 주택가가 아니라 고시원과 쪽방촌이다.
🔍 국민연금이 시작부터 잘못됐다
📢 "국민연금? 가입 못 했어요."
📢 "몇 년 넣었지만, 받는 돈이 너무 적어요."
🚧 대한민국 국민연금은 1988년에 도입됐다.
🚧 1999년에서야 전 국민 대상으로 확대되면서,
🚧 50~60년대에 태어난 세대는 국민연금을 받지 못했다.
이제 와서 기초연금을 지급하지만,
💰 OECD 평균 국가들은 하위 20~30%에게 집중 지원하는 반면,
💰 한국은 70%에게 지급해 금액이 적다.
결국 많은 노인들이 폐지를 줍고, 생계를 위해 길거리를 떠돈다.
🆘 "갈 곳 없는 노인들"— 사회적 고립과 심리적 불안
📉 대한민국 노인의 자살률은 OECD 1위
📉 80대 이상 노인의 극단적 선택 증가
사회에서 소외된 노인들은
무료급식소, 공원, 이발소를 찾아 모인다.
📌 "여기라도 와야 사람을 만나지. 집에 있으면 우울해서 못 살아."
📌 "밥 한 끼 해결하고, 바둑이라도 둬야지."
하지만, 점점 갈 곳이 사라지고 있다.
🔴 무료 급식소는 운영이 줄고,
🔴 노인 복지관도 지원이 부족하다.
🔴 노인들은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삶의 의미를 잃어간다.
🏠 주거 문제— ‘쪽방촌’을 떠날 수 없는 현실
서울 동자동 쪽방촌의 한 노인은 말했다.
📢 "정부가 이곳을 재개발한다 했지만, 나한테 남은 시간은 몇 년뿐이야."
📢 "우린 이미 늦었어."
서울시의 주거 정책은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
🛑 최저 주거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곳이 많지만, 대책은 미흡하다.
🛑 무료 주거 지원도 많지 않아, 고시원이나 쪽방촌으로 밀려난다.
💡 "고령층에게 적절한 공공임대주택을 제공해야 한다."
💡 "주거급여 정책을 강화해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해야 한다."
🚨 대한민국 노인의 미래는?
📌 대한민국 노인의 절반은 빈곤층이다.
📌 사회적으로 철저히 고립되고 있다.
📌 국민연금과 기초연금만으로는 생활이 불가능하다.
우리 사회는 노인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
❓ 그들이 거리에서 폐지를 줍지 않아도 되는 방법은 없을까?
❓ 고령층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대책은 무엇일까?
🚨 이제는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 우리도 언젠가 그들과 같은 노인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주제별 다큐멘터리 큐레이션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뢰를 잃은 숫자, 그리고 전쟁터의 교실 (0) | 2025.04.09 |
---|---|
7세 고시부터 초등 의대반까지: 대한민국 사교육 현실의 민낯 (0) | 2025.02.22 |
에너지 바우처 10년, 취약계층 난방비 해결책이 될까? (0) | 2025.02.20 |
신탁 부동산 사기의 덫: 전세 사기보다 더 교묘한 함정 (0) | 2025.02.20 |
50대 퇴직 후 재취업, 왜 이렇게 어려운가? (2)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