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보다 먼저 군이 향한 곳은 선관위 서버실이었다.”
이 문장은 단순한 뉴스 헤드라인이 아니다. 민주주의 국가의 시스템이 얼마나 취약해질 수 있는지를 묻는, 묵직한 물음표다.
2025년, 대한민국은 정치적 격랑 한가운데에 놓였다. 대통령의 탄핵이라는 초유의 사태, 그리고 그 탄핵의 명분으로 내세워진 ‘부정선거’. 오랫동안 음모론의 영역에 머물던 이 주제는, 이제 거리의 시위에서 법정 공방, 심지어 계엄령의 도화선으로까지 확장되었다. 최근 공개된 이 다큐멘터리는 그 모든 사건의 중심축을 따라가며, 우리가 잊고 있던 ‘신뢰’라는 가치를 되짚는다.
🧩 “부정선거는 믿음이 아닌 과학이다” vs “보이지 않는 손이 선거를 조작했다”
다큐멘터리는 시작부터 관객을 전율케 한다. 어두운 야경 속, 선거관리위원회 앞에서 홀로 피켓을 든 한 남성. 그는 이렇게 말한다.
“예전엔 토론이라도 했는데, 이제는 정해진 대로만 움직입니다. 민주주의가 아닙니다.”
이처럼 선거 결과를 신뢰하지 못하는 시민들의 목소리는 점점 더 커졌고, 그 중심에는 전한길, 장재현 박사, 민경욱 전 의원 등 강성 인사들이 있다. 다큐는 이들이 주장하는 논리와 그 반박 근거를 모두 나열하며, 사건을 이분법이 아닌 ‘과정’으로 풀어낸다.
예를 들어, ‘신권 투표지’라는 이름으로 퍼진 조작설은 접히지 않은 사전 투표용지를 근거로 제기되었다. 하지만 선관위의 설명은 단순하다. 지역구 후보 수가 적어 종이가 짧고, 봉투에 접지 않고도 들어가기 때문에 발생한 일이라는 것. 실제로 개표소 현장과 CCTV를 통해 그 과정이 고스란히 재현된다.
🔍 팩트를 꺾는 신념의 힘, 그리고 그 위험성
이 다큐의 강점은 양측의 입장을 ‘그들만의 논리’로 치부하지 않는 데 있다. 예컨대 부정선거론을 신앙처럼 믿는 시민들의 감정, 그들이 거리에 나설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단지 정치적 팬덤이 아니다. 어떤 이는 21대 총선에서 야권 인사들이 대거 낙선한 것을 보고 “이건 이상하다”는 감정을 느꼈고, 그 의문이 영상과 커뮤니티를 통해 증폭되며 확신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동시에 다큐는 그 믿음이 얼마나 ‘불완전한 통계’와 ‘검증되지 않은 해석’ 위에 세워졌는지를 집요하게 파고든다. 대수의 법칙이 대표적이다. 통계학적으로 대수의 법칙은 무작위 표본에만 적용 가능한데, 사전투표와 본투표는 정치 성향에 따라 분명히 성향이 갈린다는 점이 무시됐다. 다시 말해, 통계의 외피를 썼지만 실제로는 신뢰도 없는 분석이라는 것이다.
📉 법원이 무너질 때, 민주주의는 어디로 가는가
이 다큐가 진짜 날카로워지는 지점은 여기부터다. 부정선거 의혹이 ‘선거 불신’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사법부 전체에 대한 불신으로 번졌다는 점. 심지어 “판결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그것도 조작”이라는 정서가 퍼지면서, 법원을 공격하는 물리적 폭력까지 발생한다.
작품은 12·3 사태로 불리는 법원 난입 사건을 다루며 묻는다. “우리는 왜 사법부의 판단조차 신뢰하지 못하게 되었는가?” 그리고 더 나아가, 법치주의라는 공동의 약속이 깨졌을 때 사회는 어떻게 무너지는지를 보여준다.
어느 한 시위자의 말이 인상적이다. “나는 단지 내 나라를 지키고 싶었을 뿐이다.” 이 진심이 누군가에게는 선동이 되었고, 누군가에게는 죄의 무게가 되었다.
💬 우리가 할 수 있는 것들
이 다큐멘터리는 단지 사회적 갈등을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한 명의 시민으로서 우리가 해야 할, 그리고 할 수 있는 행동을 제안한다.
- 공식 정보의 우선순위 정립
유튜브와 커뮤니티보다는 선관위, 법원, 독립 언론 등의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먼저 확인하자. 팩트체크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 선거 과정에의 직접 참여
참관인 제도에 참여하거나 지역 선관위에서 모집하는 감시단 활동에 지원할 수 있다. 가장 확실한 검증은, 내가 직접 보는 것이다. - 합리적 의심과 과도한 불신의 경계
의심은 건강한 시민의 권리다. 그러나 증거 없는 확신은 오히려 사회적 혼란을 부추긴다. 우리는 냉정함을 잃지 말아야 한다.
📣 마무리하며: “민주주의는 절대 완성형이 아니다”
이 다큐멘터리는 충격적이고, 때로는 감정적으로 힘들 수도 있다. 하지만 그 속에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점은 분명하다. 선거란 단순히 표를 던지는 행위가 아니라, 신뢰를 기반으로 한 공동의 계약이라는 것.
지금, 우리가 믿어야 할 것은 특정 정치인이 아니라 사실에 근거한 합리적 시스템이다. 그 시스템에 의문을 제기할 수는 있지만, 맹목적 불신으로 무너뜨릴 수는 없다.
“여러분은 선거를 얼마나 신뢰하시나요?”
여러분의 생각을 댓글로 나눠주세요. 함께 더 나은 사회를 고민해봅시다.
'주제별 다큐멘터리 큐레이션 >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정치가 망가진 5가지 이유: 진짜 리더는 어디에 있는가? (0) | 2025.04.14 |
---|---|
검찰총장에서 탄핵까지, 윤석열 정치 1,000일의 민낯 (0) | 2025.04.13 |
윤석열 탄핵과 트럼프의 귀환, 세계 민주주의가 흔들리고 있다 (1) | 2025.04.13 |
지역주의가 만든 한국 정치의 굴레…이제는 깰 수 있을까? (0) | 2025.04.10 |
윤석열 천일의 기록: 개엄 선포와 무속 논란의 진실 (1) | 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