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다큐멘터리 큐레이션/사회

의사 없이 버티는 병원들, 한국 의료의 ‘골든타임’은 끝났다

디-사커 2025. 6. 1. 11:00
반응형

매일 병원에 가기 힘든 당신, 병원은 당신을 받아줄 준비가 되어 있을까요? 응급의료의 골든타임이 무너진 지금, 대한민국 의료 시스템의 붕괴는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다큐멘터리는 우리가 놓친 시간과 기회를 기록합니다.


출처-KBS시사

무너지는 응급 의료

이 다큐멘터리는 단순히 ‘의사 부족’을 고발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전국 응급실의 대혼란, 진료 거부, 의대 증원에 대한 의료계의 반발, 지역 의료 격차, 공중보건의 감소, 그리고 병원 시스템의 재정적 위기까지… 한국 의료계 전반의 붕괴 상황을 거침없이 드러낸다.

KBS <시사기획 창>이 기획한 이 작품은 전국의 응급실과 무의촌, 그리고 수도권의 대형 병원까지 총체적인 의료현장을 카메라에 담는다. 리얼한 현장 소리, 무력한 가족들, 지친 의료진의 얼굴은 단순한 수치 이상의 충격을 안긴다. 의료는 더 이상 누구에게나 평등한 권리가 아니며, 특히 ‘필수의료’는 사회 전체가 책임져야 할 숙제로 제시된다.


위태로운 현장과 갈라진 의료현실

  • 다큐는 서울 권역 응급의료센터의 실시간 장면으로 시작한다. 의사는 단 1.5명, 진료는 거절되고, 177/113mmHg의 혈압을 가진 환자가 대기해야 한다.
  • 전공의 부족으로 의사 수는 급감, 골든타임은 무너지고 있다. 지방에선 한쪽 눈을 잃을 위기의 환자가 천안까지 4시간을 이송되어야 했다.
  • ‘병원선’과 같은 최소한의 안전망마저 공중보건의 감소로 지속 여부가 불투명하다.
  • 폐암 수술은 기존보다 200건 이상 감소했고, 일부 지역에선 수술 대기 기간이 1년 반에 달한다.

누가 이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 갈등만 커지는 정치

정부는 의대 정원 2천 명 증원을 발표했지만, 의료계는 즉각 총파업과 수업 거부로 맞섰다. 양측은 “진정성 있는 대화가 없었다”고 서로를 비판한다.

  • 실제로 2025년 전문의 취득자는 전년 대비 80% 감소했고, 2026년 의사 배출도 심각한 절벽에 직면해 있다.
  •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전문의 수 차이는 7배 이상 벌어졌고, 의료의 수도권 쏠림 현상은 더욱 심화되었다.
  •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어떻게 늘릴 것인가’가 중요하지만, 이 다큐는 바로 그 ‘어떻게’를 놓치고 있는 현실을 조명한다.

출처-KBS시사

선의만으로는 지탱할 수 없는 의료 시스템

감동적인 장면도 있다. 전남 곡성에 65년 만에 생긴 소아과, 병원선에 타고 섬을 도는 공중보건의의 모습. 하지만 이 모든 장면은 “선한 의도만으로는 지속될 수 없다”는 현실을 강하게 반영한다.

  • 전공의 이탈, 병원 운영 적자, 지방 병원의 소멸
  • 서울 환자 집중, 환자방 숙소 증가, 항암 치료 위해 매달 서울을 오가는 말기 환자
  • 의료의 마지막 보루였던 대학병원조차 병상 축소, 폐쇄, 교수 이탈이 이어지고 있다.

숫자가 아니라 ‘어떻게’가 문제다

이 다큐멘터리는 의료정책의 중심에 ‘사람’을 두지 않았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의사 숫자”만을 강조한 정책은 결국 그 숫자조차 줄이는 결과를 낳았다.

응급실이 비어가고, 환자는 수도권으로 몰리고, 필수의료는 점점 사라진다.

  • 지금 필요한 것은 단순한 증원 정책이 아닌, 지속가능한 인력배치 시스템, 지역 지원 체계, 그리고 의료 인프라에 대한 장기적 설계다.

이 다큐를 추천하는 이유

  • 의료현실의 총체적 붕괴를 다룬 현실감 있는 다큐멘터리
  • 의료정책에 관심 있는 정책 입안자, 보건의료 전공자, 일반 시민 모두에게 추천
  • 감정과 정보, 통계를 조화롭게 섞어내며 깊은 여운을 남긴다

당신의 생각은?

  • 의료 시스템은 정말로 붕괴된 걸까요?
  • 의사 수가 아니라 구조와 배분의 문제라면, 어떻게 바꿔야 할까요?

👉 댓글로 당신의 생각을 들려주세요. 이 리뷰가 공감되셨다면 좋아요와 공유도 부탁드립니다.

반응형